
INDEX글또가 끝나기 전 마무리 회고글또를 참여한 후기목표 달성과 Action Item 점검하기앞으로 ...글또가 끝나기 전 마무리 회고.9월 29일 부터 3월 30일. 약 6개월간의 여정이 마무리가 되었다. 글을 적는 것도, 읽는 것도 좋아하지만 항상 작성한 뒤 아쉬움이 남아 있었고, 내 글에 대한 확신이 부족해서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번 활동을 통해 나의 글이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싶었다. 13회차 동안, 10개의 글을 발행했고 패스 2번을 모두 사용했다. 그리고 일이 한 창 정신 없을 때 딱 한 번 제출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아있다. 그래도 깊이 있는 글, 다양한 시각의 글, 가독성이 좋은 글쓰기가 하고 싶었는데 다른 분들의 글을 같이 읽으면서 좋은 것들을 반..

INDEX배경: 소모임 채널을 운영하며활용 기술- Notion Database- Typescript개발 및 Test 과정1) Notion 관련 세팅하기 (DB 생성, API Key 발급)2) Notion DB를 긁어오는 Script 작성하기향후 발전 시키고 싶은 점 & 마무리배경: 소모임채널, #4_작업공간찾았또를 운영하다.평소에 조용한 카페, 도서관, 그리고 맛있는 디저트를 찾아다니는 것을 좋아한다.나는 중학생때 울산, 부산에서 주로 살았는데, 조용하고 한적한 카페들이 많아서 지역에 숨은 곳곳을 찾아다녔다.어른이 되고 서울로 올라와 생활하면서 조용한 카페들을 찾기 쉽지 않다는 걸 느꼈고,좋은 카페 정보를 찾아 공유하거나 받고 싶다는 생각이 컸다. 특히, 카페나 공간의 후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편이라,믿을..

INDEX주제: 어떻게 성장할까? 하드스킬: 어떻게 성장할 수 있을까?- 멋있는 것보다, 알맹이에 집중할 것- 멋있는 것을 많이 볼 것- 두뇌 풀가동되는 상태를 만들 것- 내 삶에 적용할 것소프트 스킬: 어떻게 해야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까?- 변화에 열려있기- 꾸준하게 반복하기마무리 & 나의 생각 정리주제: 어떻게 성장할까?지난달 22일 토스 프론트엔드 헤드를 맡고 계신 서진님의 세션에 다녀왔다.주제는, '시니어 개발자와 주니어 개발자의 성장이 어떻게 다를까' 였고, 성장에 대한 고민이 꽤나 많았기에 오프라인 세션으로 참여를 신청했다. 판교 구름스퀘어에서 진행되었고, 많은 질문과 생각이 오갔던 것이 기억난다.그리고 더 까먹기 전에 세션에서 들었던 내용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누군가는 J커브를 그리..
INDEX글을 작성하게 된 배경: 개발 프로세스에서 모킹의 필요성을 느끼다테스트 종류: 단위, 통합, 시스템테스트Mocking이란?Mocking의 목적Mocking 방법MSW- Service Worker란?- MSW 동작 원리- MSW를 적용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결론 & 마무리배경: 모킹의 필요성을 느끼다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개발 프로세스는 기획을 하고,백엔드(서버)개발이 완료되면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는 것이다.그런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그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걸 느낀다.정해진 일정이 있다는 것과, 잦은 수정이 일어나기 때문인데이는 굉장히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나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잦은 수정은 물론 일정이 밀린 경험이 여러번 있었다.그런데, 서버가 완성되지 않아도..

3주전 토요일 SIPE 활동 중 하나인 사이프챗에서 라이트닝 토크 시간에 발표를 했다.어떤 이야기를 하면 좋을까 고민하다가, 지금 내가 어쩌다가 여기까지 오게 됐는지그 과정을 이야기해보고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고민에 대한 조언도 얻고 싶었다. 그래서 성인이 되기 전, 아주 어린(물론 지금도 어리지만 지금보다 더 어린 미성년자..)시절을 돌아보고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 준비하고 싶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직후에는 취업을 하지 못했다는 사실에만 집중해 좌절하는 시간이 대부분이었는데,이제는 한 걸음 떨어져서 볼 수 있을 것 같아 마음의 준비도 얼추 된 것 같다.진짜 마지막으로 글로 남겨서 최종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인생 선배님들의 글을 먼저 보았습니다올해 다양한 IT 커뮤니티에 참여하며 많은 어른들을 만났다..

배경우리가 React를 사용하면서 제일 중요한 것이 데이터의 변화, 즉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다.이러한 상태를 잘 관리하기 위해 React에서 상태의 변화를 먼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초기 트리거 단계상태 선언useState를 이용해 상태를 생성 (useReducer, useState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태를 생성할 수 있다.)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handleClick = () => { setCount(1); setCount((prev) => prev + 1); setTimeout(() => { setCount((prev) => prev + 1); }, 1000); };}..

지난 시간에는 Closure의 원리를 이용해 useState를 간단하게 구현해보았다.이번주에는 조금 더 깊이 있게 들어가보려고 한다. useMyState 여러개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우리가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useMyState를 여러개 사용하게 되면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생략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My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MyState('apple') return { render: () => console.log({ count, text }), click: () => setCount(count + ..

1. Closure란 함수가 선언 될 때, 렉시컬 환경을 기억해 함수가 해당 스코프 밖에서 실행되어도 그 환경에 접근할 수 있는 현상이다.2. Closure의 핵심원리는 내부 함수의 생명주기가 끝났음에도 외부 환경의 변수에 대해 참조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이를 활용해서 useState를 구현할 수 있다.3. useState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다. 배경이번 면접의 사전 과제에서 Closure에 대한 개념과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였다.그리고 사전 과제를 기반으로, 기술 면접 진행 과정에서 useState를 구현하는 시간을 가졌다.Closure을 아는 것에서 나아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추론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 뜻깊었고,이를 떠올려보면서 최대한 기록해보려고 한다. Ja..

글또를 시작하기 전 회고글을 적는걸 좋아했지만, 항상 적고 나면 아쉬웠다. 내가 적은 글이 잘 적은 글일까? 부족해보이진 않을까?와 같은 생각을 늘 했고, 글을 잘 적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여기서 말하는 잘 적는 글이란 많은 기준이 있겠지만, 3가지 정도만 꼽아보자면 조금 더 깊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글다양한 방향으로 생각이 넓혀지는 글가독성이 좋은 글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글을 작성하면서 가독성은 어느정도 개선이 되었지만, 아직까지 깊은 생각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글을 작성해보지는 못한게 아쉬웠다. 그리고 늘 저장된 글만 여러개 있고 세상 밖으로 나오지못한 글이 많아서, 이번 기회를 통해서 작성해보고 싶었다.글또를 참여하게 된 계기이 부분은 내 가치관과 관련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요즘, 내 가치관..

👉 서론이 조금 길어요! 이력서 작성법이 궁금하신 분들은,이력서 작성법 부터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요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강의를 제공해주는 인프런에서는매년 인프콘을 개최해 다양한 세션과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준다.아직 프론트엔드 주니어인 나는 개발을 잘 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이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그래서 인프콘에도 너무나 참여하고 싶은 마음이 컸는데, 아쉽게도 매년 떨어졌다.(올해도 역시나 ..) 다른 때보다 유독 올해는 더욱 속상했던게,나랑 여동생이랑 둘 다 지원을 했는데, 나만 떨어졌다는 것이다..(얄밉게 자랑하고 갔다...)아쉬운 마음에 인프콘 페이지만 계속 새로 고침하고 있었고,열심히 듣고 싶어서 짜낸 시간표만 애써 바라보고 있었다. 인프콘 20..